일반적인 생활 정보 정리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탕후루와 같은 초가공식품이 술과 담배만큼의 중독성을 가지고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는 어떤 위험에 직면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미국 미시간 대학의 애슐리 기어하트 교수가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36개국에서의 281개 연구를 메타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성인 14%와 청소년 12%가 음식 중독 증상을 보이며, 그 중독 대상은 대부분 초가공식품이었습니다.
과학적으로 음식 중독에 대한 이해는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가공 식품은 중독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식품은 정제된 탄수화물과 첨가된 지방이 많습니다. Yale Food Addiction Scale (YFAS)는 음식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성인 중 14%와 어린이 중 12%가 YFAS를 사용하여 음식 중독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초가공 식품의 중독성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이러한 식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 주제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정책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비만이나 섭식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UPF 중독이 있으면 식이 관련 질병의 수준이 높아지고, 일반적인 정신병리학이 높아지며, 인지 기능이 저하되고, 치료 결과가 나빠지는 등 더 심각한 임상 증상이 나타납니다
bmj-2023-075354.full.pdf
0.21MB
(논문 원본 - BMJ Ultra-processed food addiction PDF 파일, 출처 - BMJ)
(초가공식품 연구논문 원문)
초가공식품은 식재료를 가공한 후에 향료, 인공 감미료, 색소 등의 첨가물을 넣은 식품을 의미합니다. 탕후루, 탄산음료, 마카롱, 아이스크림, 냉동 간편식, 소시지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참고 자료 - 인공감미료의 발암가능성)
연구팀은 음식 섭취에 대한 통제력 감소, 금단증상, 비만, 폭식 장애 등을 중독의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성인의 초가공식품 중독 수치는 술과 동일한 14%였으며, 담배의 18%보다는 약간 낮았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중독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기준은 DSM-5의 물질 사용 장애 기준을 기반으로 하며, Yale Food Addiction Scale (YFAS)를 통해 음식 중독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초가공식품을 섭취하면 뇌의 도파민이 급증하여 기분이 좋아집니다. 이러한 도파민의 급증은 술이나 담배와 같은 중독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 결과, 사람들은 더 자주, 더 많이 초가공식품을 찾게 됩니다.
초가공식품의 중독 원인에 대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초가공식품 중독의 원인이 되는 특정 물질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액상과당이나 지방과 같은 단일 물질이 아닌, 여러 성분들의 상호작용이 원인일 수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에 대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습니다.
이러한 물질은 초가공 식품에 주로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당과 같은 정제된 탄수화물과 첨가된 지방은 뇌의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중독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은 니코틴이나 알코올과 같은 중독성 물질과 유사한 수준의 도파민을 뇌에서 방출하게 만듭니다.
초가공식품의 과도한 섭취는 여러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초가공식품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질병들은 초가공식품의 성분 및 그 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기반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초가공식품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논문에서는 초가공식품의 중독성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었으며, 초가공식품으로 인한 구체적인 질병의 종류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논문에서는 초가공식품의 중독성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따라서 초가공식품의 과도한 섭취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정제된 탄수화물과 지방 함량이 높은 초가공식품을 섭취하는 사람들에게 연구팀은 '물질사용장애'라는 진단을 내렸습니다. 이는 특정 물질의 사용이 문제가 되어도 멈추지 못하는 행동 패턴을 보이는 정신장애를 의미합니다.
설탕 대체 인공감미료 아스파탐 발암 가능성과 대체 식품에 대해 알아보기
기어하트 교수는 초가공식품과 중독 간의 관련성에 대한 근거가 드러나고 있으며, 초가공식품을 강력한 중독성 물질로 규정하는 것이 전 세계 건강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탕후루는 중국 전통 디저트로, 하나에 든 당분은 10~25g입니다. 따라서 꼬치 두 개만 먹어도 성인의 하루 당분 섭취 권고량인 50g에 도달하게 됩니다.
탕호루 종류 | 총 무게 (g) | 당분 함량 (g) | 당분 비율 (%) |
---|---|---|---|
딸기 탕호루 | 53 | 9.9 | 18.6 |
스테비아토망고 탕호루 | 109 | 20.9 | 19.1 |
귤 탕호루 | 61 | 14 | 22.9 |
블루베리 탕호루 | 42 | 13.5 | 32.9 |
애플포도 탕호루 | 67 | 22.3 | 33.2 |
블랙사파이어 탕호루 | 72 | 24.7 | 34.3 |
(탕호루 당분 비율 조사 결과, 출처 - 헬스 조선)
초가공식품의 중독성에 대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BMJ에 실렸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가공식품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꼭 탕호루가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건강한 식습관을 인지하고 유지해야 하는 이유를 우리에게 시사하고 있습니다.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설탕 대체 인공감미료 아스파탐 발암 가능성과 대체 식품에 대해 알아보기
참고자료